본문 바로가기
생활,건강,도움되는정보

2025년 서울시 배달 전기이륜차 보조금 신청 방법

by 라이프드라이버 2025. 3. 27.

서울시, 지원 규모 2배 확대… 최대 300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서울시가 전기이륜차 보급을 본격적으로 확대합니다. 2025년 상반기 전기이륜차 구매 보조금 신청이 4월 1일(월) 오전 10시부터 시작되며, 지원 물량과 예산이 전년 대비 2배 이상 확대되었습니다.

배달업 종사자, 소상공인 등 전기이륜차 구매를 고려하고 계셨던 분이라면 이번 기회를 꼭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올해 보급 규모 및 접수 일정

서울시는 상반기 중 총 4,000대 규모의 전기이륜차 보조금을 지원합니다.

구분 보급 대수
배달용 2,000대
일반용 1,400대
우선순위 대상자 (소상공인, 취약계층, 유공자 등) 600대

※ 보급 대수 소진 시 조기 마감될 수 있으므로 빠른 신청이 필요합니다.

 

전기이륜차 보조금 지원금액

올해는 차종 및 성능에 따라 최대 300만 원까지 지원되며, 지원금은 국비와 시비로 각각 절반씩 분담됩니다.

구분 최대 보조금 (만 원)
경형 140 (국비 70 + 시비 70)
소형 230 (115 + 115)
중형 270 (135 + 135)
대형 300 (150 + 150)
기타형 270 (135 + 135)

보조금은 차량의 성능(주행거리, 배터리 용량, 등판능력 등)에 따라 차등 적용됩니다.

 

상업용 구매자 혜택 확대

서울시는 배달업 종사자, 소상공인의 부담을 덜기 위해 다음과 같은 추가 혜택도 제공합니다.

  • 배달용 차량: 시 보조금 지원 비율 기존 10% → 30%로 확대
  • 소상공인 차량: 20% 추가 지원
  • 배터리 교환형 전기이륜차: 30% 지원 계획

이를 통해 상업용 이륜차 구매자의 부담을 실질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신청 자격 및 조건

신청 대상은 아래 조건을 충족하는 개인 또는 단체입니다.

  • 서울시에 30일 이상 거주한 개인
  • 서울시 소재 사업자로 등록된 개인사업자, 법인, 단체, 공공기관 등

신청 제한 및 유의사항

  • 개인은 2년 이내 1인 1대 한정
  • 단체, 법인, 사업자는 신청 대수 제한 없음 (단, 5대 이상 신청 시 사업계획서 제출 필요)
  • 2개월 내 출고 가능한 차량만 신청 가능

 

신청 절차 및 방법

신청은 2025년 4월 1일(월) 오전 10시부터 환경부 무공해차 통합 누리집을 통해 가능합니다.

환경부 무공해차 통합 누리집 바로가기>>

  1. 제작사(또는 수입사)와 구매계약 체결
  2. ‘무공해차 통합 누리집’에서 구매보조금 신청
  3. 출고 및 등록이 완료되면 보조금 지급 확정

보조금은 서울시가 직접 제작사나 수입사에 지급하며, 구매자는 보조금을 제외한 금액만 부담하면 됩니다.

보조금 지급은 출고·등록 순서 기준으로 선정됩니다.

 

충전 인프라 확충 계획

전기이륜차 전환을 망설이게 하는 가장 큰 이유는 ‘충전 불편’입니다.
서울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KS표준 배터리 교환형 충전시설(BSS)’ 50기를 설치할 예정입니다.

  • 주요 대학가 및 상권 밀집지역 20개 동에 우선 설치
  • 빠르고 간편한 배터리 교환 방식 도입
  • 배달업 종사자의 충전 시간·위치 부담 완화

 

민관 협력을 통한 추가 혜택

서울시는 제조사 및 플랫폼 업계와 협력해 다양한 추가 혜택도 제공합니다.

  • 차량 가격 할인 시, 보조금 15만 원 추가 지원
  • 배달용품 무상 제공 (헬멧, 박스 등)
  • 배터리 이용료 최대 20% 할인
  • 체험기회 확대, 정보 접근성 강화

 

전기이륜차는 단순한 교통수단을 넘어, 도시의 소음과 매연을 줄이는 친환경 이동수단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서울시는 배달업 중심의 도심 전동화 전환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이번 보조금 확대를 통해 실질적인 구매 지원에 나섭니다.

2025년 4월 1일부터 시작되는 전기이륜차 보조금 신청 접수, 놓치지 마시고 미리 준해보시기 바랍니다.